-
목차
도시공학과란?
도시학과는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설계하는 학문을 배우는 곳입니다.
도시란 단순히 건물과 도로의 집합이 아닌, 사람의 삶과 행정, 환경, 경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도시학은 여러 학문을 융합합니다.그래서 도시학 전공에서는 토목공학, 환경공학, 행정학, 정책학, 지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함께 다루게 됩니다.
즉, 공학과 인문사회학이 함께 어우러진 융합형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분화된 학과 명칭과 계열
학교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도시학과’라는 이름 대신 여러 세부 전공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도시공학과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 도시계획학과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도시행정학과 / 지역개발학과 / 부동산학과
등으로 분화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교통공학과, 조경학과, 부동산학과 등과 같은 단과대학 내에 함께 개설되기도 합니다.
도시학과는 기원에 따라 크게 두 흐름으로 나뉩니다.
- 공과대학 중심의 도시계획학과 계열
- 농과대학 중심의 지역개발학과 계열
예를 들어,
- 도시계획학과 계열은 1965년 동아대학교가 처음 개설하였고, 이후 한양대(1967), 홍익대(196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 지역개발학과 계열은 1963년 중앙대학교, 1975년 단국대학교, 1979년 전남대학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등이 대표적입니다.
한 대학 내에서도 농대·공대에 각각 도시 관련 학과가 공존하기도 합니다.
예: 공주대(산업과학대 지역사회개발학과 / 공대 도시교통공학과),중앙대(사회과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공대 도시시스템공학전공).
🔹 학교별 커리큘럼의 차이
도시학과는 같은 이름이라도 학교별로 배우는 내용이 상당히 다릅니다.
어떤 학교는 도시계획·설계 중심, 어떤 곳은 부동산 및 정책 중심, 또 어떤 곳은 **GIS(지리정보시스템)**이나 지적학에 집중하기도 합니다.이 때문에 문·이과의 경계가 거의 없으며, 실제로 문과생의 교차지원이 활발한 공과대학 학과 중 하나로 꼽힙니다.
졸업 시에는 대부분 공학사를 받지만, 학교에 따라 행정학사 또는 정책학사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학원에서는 도시계획학 석·박사,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박사 등 세부 전공으로 이어집니다.도시학과 개설대학
서울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이공대학 미래융합학부2 도시계획공학전공 미래융합대학 국공립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계획 및 설계 공과대학 국공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행정학과, 도시사회학과 도시과학대학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사회과학대학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건축도시대학 경기·인천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가천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도시계획학전공 공과대학 스마트시티학과 IT융합대학 강남대학교 부동산건설학부 스마트도시공학전공 공과대학 경기대학교(수원캠퍼스) 스마트시티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창의공과대학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도시지역계획학전공 사회과학대학 성결대학교 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 IT공과대학 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도시부동산학전공 혁신공과대학 국공립 인천대학교 도시행정학과, 도시공학과 도시과학대학 도시건축학부, 도시환경공학부 평택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국제비스니스대학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이공대학 도시행정학과 인문사회과학대학 강원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국립강릉원주대학교(강릉캠퍼스)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사회과학대학 충청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스마트도시학부 국립 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천안공과대학 지역사회개발학과 산업과학대학 국립 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사회과학대학 국립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국립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공과대학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건설환경디자인대학 목원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상명대학교 그린스마트시티학과 융합기술대학 전라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국립 목포대학교 도시및지역개발학과 사회과학대학 국립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지역개발학전공 경영대학 국립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광주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인문사회과학대학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사회문화대학 경상
대학
학과
소속 단과대
경상국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국립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국립 울산과학기술원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공과대학 경성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공과대학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도시계획공학전공 공과대학 동아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공과대학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도시환경공학전공 도시학의 현재와 미래
최근에는 스마트시티(Smart City) 개념이 등장하며 도시학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스마트도시 핵심인력 양성사업’을 추진 중이며, 도시데이터·AI·IoT 기술과 결합한 스마트 도시 설계 전문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또한 지방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해 지방대학들도 산학협력 기회가 늘어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스마트 도시 시범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다만, 여전히 일부 대학에서는 전통적 도시계획 중심의 교육과정에 머물러 있어,
스스로 GIS, 데이터분석, 공간정보, 환경디자인, 정책기획 등 전문 기술을 익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취업과 진로
2019년 기준, 전국 4년제 대학 12,595개 학과 중 도시·지역 관련 학과는 33개로 집계되었습니다.
취업률은 대학의 성격과 학과 방향에 따라 편차가 있습니다.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 관련 전문 인력 양성에 특화되어 취업률이 80~90%에 달함
- 한양대·연세대·홍익대: 토목·건설 분야 진출 외에도 부동산금융, 신탁회사, 개발기획(PM) 등 상경계열 진로도 활발
-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LM, PM, AM사, 부동산 개발사, 금융사 등 진출 비율이 높고, 취업률은 70~80% 수준
도시공학계열은 토목·환경 분야로, 도시행정계열은 공공기관·지자체·정책연구소, 부동산학계열은 금융·개발·자산운용 등으로 진출 폭이 넓습니다.
결국 전공의 성격보다 학생의 선택과 관심 분야에 따라 진로가 크게 달라집니다.[유망학과 시리즈⑪] 스마트시티 전문가 ― 도시를 설계하는 미래 직업
스마트시티(Smart City)는 도시의 교통, 에너지, 환경, 주거, 안전, 복지 등 다양한 요소를 디지털 기술로 통합 관리해 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기술
1step-note.com
🔹 마무리
도시학과는 단순히 도시를 ‘설계’하는 학문이 아니라,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의 삶을 설계하는 학문입니다.
문과·이과를 넘나드는 융합적 사고력과 실무 감각이 필요한 만큼,
공공정책부터 공간디자인, 부동산, 데이터 기반 도시관리까지 폭넓은 진로가 열려 있습니다.미래의 스마트 도시 시대를 준비하고 싶다면, 도시학과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로봇공학과 개설대학
로봇공학과 완전정리|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융합전공 1️⃣ 로봇공학이란?**로봇공학(Robotics)**은 로봇의 설계, 제작, 제어, 응용을 다루는 학문입니다.기계공학·전자공학·컴퓨터공학·제어공
1step-note.com
2026 WBC(World Baseball Classic) 일정, 조별 현황
🏆 2026 WBC 조별 현황A조(히람 비손 스타디움)B조(다이킨 파크)C조(도쿄돔)D조(론디포 파크) 푸에르토리코 미국 일본 쿡 제도 쿠바 멕시코 호주 도미니카 공화국 캐나다 이탈리아 대한민국 네덜란
2.1step-note.com
2025년 청년 지원정책 및 공식 링크 정리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2025년 하반기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화생활부터 취업 중비, 금융 지원, 신혼부부 혜택까지 폭넓게 마련된 이번 프로그램들을 놓치지 말고 확인해보세요!
spring-1day.tistory.com
'대학학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디자인학과 진학가이드 | 전공 특징, 진로 자격증, 교과목 한눈에! (1) 2025.11.10 로봇공학과 개설대학 (0) 2025.11.05 통계학·데이터사이언스학과 개설대학 (0) 2025.10.28 [유망학과 시리즈 ④] 기후환경 전문가 ― 지구를 지키는 미래 직업 (1) 2025.10.28 미래를 여는 '에너지공학과' 개설대학 (0) 202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