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8. 23.

    by. 위드_길

    목차

       

      1. 고대에서 조선까지 이어진 교육의 흐름

      역사적으로 어떤 시대든 나라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기관이 존재했습니다.

      • 고구려에는 귀족 자제들에게 유학과 무예를 가르치던 태학이 있었고,
      • 백제에는 경전을 익히는 오경박사,
      • 신라에는 화랑도를 기반으로 인재를 기르던 국학이 운영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고려로 이어졌습니다. 고려는 국립 교육기관인 국자감을 두고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학문을 가르쳤습니다. 고려 말기에는 국자감이 성균관으로 개칭되었고, 이는 조선으로 그대로 이어져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즉, 고대부터 이어진 국가 교육의 흐름은
      태학 → 국학 → 국자감 → 성균관
      으로 발전하며, 나라를 다스릴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 시대 교육 기관, 성균관

       

       

      2.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건국 후 한양을 도읍지로 삼고, 고려의 교육 제도를 이어받아 성균관을 새로 지었습니다. 성균관은 오늘날의 국립대학교에 해당하며, 조선의 학문과 사상, 인재 양성을 책임진 최고의 교육기관이었습니다.

       

      조선은 나라 운영의 기본 이념을 **유학(성리학)**으로 삼았기 때문에 성균관에서는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학문을 가르쳤습니다. 또한 공자를 비롯한 유학의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도 성균관의 중요한 역할이었습니다.

       

      성균관의 교관은 학식이 뛰어난 정2품 관리 중에서 선발되었고, 학생이 되기 위해서는 '생원시(경전 이해 시험)'와 '진사시(문장력 시험)'라는 소과 시험에 합격해야 했습니다. 매년 선발 인원이 100명 정도로 매우 적어, 주로 양반 가문의 자제가 입학했습니다.

       

       

      3. 성균관의 공간과 건물

      성균관은 크게 제사 공간교육 공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대성전 구역
        공자를 비롯한 유학 학자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동무와 서무가 있으며 공자의 위패가 모셔져 있습니다. 음력 2월과 8월에는 임금도 참석할 만큼 중요한 석전대제가 열렸고, 이때 연주되는 음악은 문묘제례악이라 불렸습니다.

       

      • 명륜당 구역
        실제로 교육이 이루어진 공간입니다. 
        • 명륜당: 강의실
        • 존경각: 오늘날의 도서관
        • 동재·서재: 학생들의 기숙사

      즉, 성균관은 학문과 제례, 기숙사 생활이 모두 가능한 종합 교육기관이었습니다.

       

       

       

      4. 성균관 유생들의 생활과 공부

      성균관 학생들은 유생이라 불렸습니다. 이들은 합격 후 국가의 지원으로 무료로 공부하며, 장차 나라의 관료가 될 인재로 길러졌습니다.

      유생들의 하루는 북소리로 시작되었습니다.

      • 북소리 한 번: 기상
      • 북소리 두 번: 새벽 공부
      • 북소리 세 번: 아침 식사

       

      출석부에 이름을 적으면 하루 1점씩 적립되었고, 300점을 넘겨야 대과(과거 시험)를 볼 자격을 얻고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공부는 논어, 맹자, 시경 등 유교 경전 9과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기본적으로 3년 이상 걸리는 방대한 분량이었습니다. 시험을 보면

      • 통(합격)
      • 약(조금 미흡)
      • 조(부진)
      • 불(불합격)
        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성균관 유생들은 학업뿐 아니라 정치적 의견을 임금에게 상소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숙종 시절, 후궁 장희빈이 인현왕후를 몰아내자 유생들이 수업과 식사를 거부하고 왕에게 뜻을 돌리라고 요구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5. 성균관과 향교의 관계

      조선에는 성균관과 함께 향교라는 지방 교육기관도 있었습니다.

      • 성균관이 서울에 있는 국립대학이라면,
      • 향교는 지방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했습니다.

      향교 학생을 교생이라 불렀고, 이들은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하면 성균관으로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향교에서는 사서오경소학을 배우며, 유교 경전을 통해 예절과 도리를 익혔습니다. 향교에서 공부하면 군역이 면제되기도 했습니다.

       

       

      6. 성균관의 변화와 의미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성균관의 기능은 점차 약화되었습니다.

      • 과거제도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 지방에 서원이 생겨나면서 성균관 학생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균관은 유학 진흥을 위해 유지되었고, 성균관 유생들에게 과거 시험에서 유리한 특별 시험이 시행되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성균관은 교육기관의 역할은 잃었지만,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지로 남아 있으며 한국의 전통 교육과 유교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장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무리

      고구려의 태학에서 시작된 한국의 국가 교육기관은 고려의 국자감, 조선의 성균관으로 이어지며 유학을 중심으로 한 인재 양성의 역사를 만들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성균관은 학문과 제례, 인재 교육을 동시에 담당한 종합 교육기관으로 조선의 국가 운영과 사상적 기반을 책임졌습니다.

       

      지금은 성균관대학과 연결되어 그 정신을 이어가고 있으며, 서울 종로의 성균관은 한국 전통교육의 살아있는 역사로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공간으로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