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8. 23.

    by. 위드_길

    목차

       

      현대 사회에서는 학교에서 배움을 통해 교육이 이뤄지는데, 과거 조선시대에서는 교육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합니다.

      조선시대에 어떻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인재를 육성했는지, 그리고 육성된 인재들이 어떤 일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시대의 교육 역사와 제도

       

       

      조선 시대 교육의 시작, 서당

      조선시대 교육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은 서당입니다. 서당은 지금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데요. 서당에서는 무엇을 배웠을까요?

       

      서당에서는 예의범절, 붓글씨 쓰기부터 시작해 천자문, 사자소학, 소학, 명심보감 등 유학의 기초를 배웠습니다. 보통 7~8세에 입학하여 15~16세에 공부를 마쳤으나, 20세가 넘는 학생도 많아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공부했습니다.

       

      서당은 사설 교육기관으로 일정한 규정이 없었기에 자유롭게 세워지고 없어졌습니다. 양반 유학자가 자기 집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마을에서 선생님을 모셔와 서당을 차리기도 했습니다. 서당에서 배운 학생들은 향교, 서원, 그리고 성균관으로 진학해 나라의 인재가 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중등교육기관, 향교와 4부 학당

      오늘날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향교4부 학당이 있었습니다. 향교는 지방에, 4부 학당은 한양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입니다.

       

      두 기관에서는 주로 소학사서오경을 공부했으며, 우수한 학생은 성균관 입학 자격과 진사시, 생원시 시험 응시 자격을 얻었습니다.

       

      향교와 4부 학당의 차이는 위치뿐만 아니라, 향교는 공자 등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문묘가 있었지만 4부 학당에는 문묘가 없었습니다. 4부 학당은 학당마다 약 100명의 학생을 수용했고, 향교는 고을의 크기에 따라 입학 정원이 달랐습니다.

       

       

      사립 중등 교육기관, 서원

      서원은 사립 교육기관으로, 향교처럼 유학자들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다만 향교가 국립기관인 반면, 서원은 사림 세력이 세운 사립 학교였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서원이 당파 싸움을 조장하고 민생에 폐단을 일으킨다는 비판이 있어 많은 서원이 흥선대원군 때 문을 닫았으나, 현재도 몇몇 서원이 남아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영주 소수서원, 경주 옥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등이 있으며,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은 성균관으로, 조선의 국립대학에 해당합니다. 성균관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
      •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 역할

      성균관에는 소과 시험(생원, 진사)에 합격한 약 200여 명의 유생들이 공부했습니다.

       

      학생들은 수업료 무료는 물론 기숙사와 필기구 등 생필품까지 제공받았습니다. 또한 관리가 되기 위한 대과 시험 응시 자격도 주어졌습니다.

      다만 출석과 성적 관리가 엄격했으며, 학생 간 경쟁도 매우 치열했습니다.

       

       

      교육의 마무리, 과거 시험

      조선시대 교육의 최종 목표는 과거 시험에 합격해 관리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과거 시험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초시: 성균관 학생 우수자 50명 규모의 관시, 한양 거주 양반 대상 한성시, 향촌 양반 150명 대상 향시로 구성
      2. 복시: 유교 경전, 문예 창작, 논술 시험을 통해 33명의 합격자를 가름
      3. 전시: 왕이 직접 출제하는 시험으로, 순위를 매겨 갑과(1~3위), 을과(4~10위), 병과(나머지)로 나누어 합격자 결정

      이처럼 체계적인 교육과 시험 제도를 통해 조선시대는 인재를 양성하며 국가를 운영했습니다.

      과거도 현재도 교육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어 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교육부 공식 블로그

       

       

       

       

       

      조선 시대 교육 기관, 성균관

      1. 고대에서 조선까지 이어진 교육의 흐름역사적으로 어떤 시대든 나라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기관이 존재했습니다.고구려에는 귀족 자제들에게 유학과 무예를 가르치던 태

      1step-note.com

       

       

      삼국 이전 고대의 교육 역사

      삼국 이전 고대의 교육 역사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은 아주 먼 과거, 원시사회로부터 고조선과 여러 부족국가들이 형성되던 시기까지 이루어졌던 교육을 말합니다. 시기

      1step-note.com